<!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

<head>
    <title>변수선언초기화 참조</title>
</head>

<body>
<script type="text/javascript">
    //[0]변수(Variable) :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는 "메모리상의 임시 데이터 저장공간(그릇)"

    //[1] 변수 선언(정의)
    var num; // num이라는 이름으로 변수 만들자
    //[2] 변수 초기화(할당)
    num = 1234; //1234를 대입
    //[3] 변수 참조
    document.write("num에 들어있는 값 : " + num + "<br />");

    //[!] 변수 이름 짓는 법: 파스칼표기법, 헝가리언표기법, 낙타(Camel)표기법
    var my_num = 1234; // _(언더바)로 구분, C/C++에서 많이 쓴다.
    var strnum = "1234"; // 접두사(str)로 구분, VB에서 많이 쓴다.
    var myNum = '1234'; // 두번째 단어 이후의 첫자를 대문자로, C#과 Java에서 많이 쓴다.
    var intMyAge = 21; // 3가지 방식 혼용(현대)
</script>
</body>
</html>


<!-- .NET에서는 낙타표기법을 기준으로 본다. 낙타표기법과 혼용방식을 써라! -->
<!-- 블로그에 세가지 표기법에 대한 자료 올려놓을 것! -->



< 실행결과 >






'.NET프로그래밍 > JavaScript 1.2'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관계연산자  (0) 2009.07.30
9. 산술연산자  (0) 2009.07.30
7. 기본출력문  (0) 2009.07.30
6. 객체 속성 메서드(함수) 이벤트 사용  (0) 2009.07.30
5. 자바스크립트 작성 시 주의할 점  (0) 2009.07.30
Posted by holland1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

<head>
     <title>기본출력문</title>
</head>

<body>

<script type="text/javascript">
    //[1]
    document.write("문서 영역에 결과 값 출력<br />");
    window.document.write(
    "<span style='color:red;'>window</span> 객체는 생략 가능</br />"); // 큰따옴표("") 안에는 작은따옴표('')로 묶어야 함.
    //[2]
    window.alert(" \"메시지박스\" 결과 값 출력"); // 큰따옴표("")를 메시지박스 안에 표시하고자 할때는 "앞에 \표기하면 됨.
    alert("역시 window 객체(개체)는 생략 가능");
</script>

</body>
</html>



< 실행결과 >






--> 첫번째 메시지박스 '확인'버튼 누른 후



Posted by holland1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객체(개체) 속성 메서드(함수) 이벤트</title>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document.write("1. 객체.메서드()"); // document : 객체 / write() : 메서드(함수)
        document.title = "2. 객체.속성"; // 익스플로러창 맨위에 위치한 '파란색칸(타이틀영역)의 이름(제목)'
    </script>
</head>
<body>
<!--
click : click 이벤트
onclick : click 이벤트 발생시 실행할 onclick 이벤트 핸들러(처리기)
-->

<input type="button" value="클릭" onclick="window.alert('안녕');" />

</body>
</html>


<!--
- <title>태그로 제목이 있지만 아랫줄에 있는 자바스크립트의 title속성이 적용된 것을 실행결과에서 볼 수 있다.
-->



< 실행결과 >





Posted by holland1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

<head>

    <title>자바스크립트 작성 시 주의할 점</title>

</head>

<body>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 요즘에는 버전표기 안해줘도 됨.
    document.write("마지막 버전"); 
</script>
<br />

<script language="javascript1.3" type="text/javascript">
    document.write("1.3버전");
</script>
<br />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 language="javascript"는 생략가능함.
<!--
    document.write("자바스크립트를 알지 못하는 웹브라우저를 위해서 주석 표기");
--> 
</script>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
//여기에 경고 대화상자를 하나 출력
/*
메시지박스를 출력하고자 할 때에는
window.alert() 명령어를 사용한다.
*/
window.alert("경고 대화상자 출력");
//
-->
</script>

</body>

</html>


<!--

- 3번째 자바스크립트 코드단락에서 자바스크립트 문장 위아래로 주석을 표기하였는데, 자바스크립트를 인식못하는 브라우저는 자바스크립트 문장까지 주석으로 처리/무시하고 넘어감. 현재는 많이 안쓰인다.
 
  -->

< 실행결과 >



Posted by holland1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태그 내에 직접 자바스크립트 정의</title>
</head>
<body>

<input
    type="button" value="버튼" 

    style="background-color:Yellow;border:solid 1px red;" 

    onclick="window.alert('클릭');"
    onmouseover="this.style.backgroundColor='green';"
/>

</body>
</html>


<!-- "on"으로 시작하는 부분이 JavaScript이다. -->

< 실행결과 >





--> 마우스 오버시


--> 클릭시



Posted by holland14
:


================================== 자바스크립트코드분리.htm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외부에 두기</title>
</head>
<body>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src="js/Alert.js"> /* 외부에 있는 JavaScript파일과 연동하려면 src="~"로 경로설정해줘야 한다. */
</script>
</body>
</html>


========================================== Alert.js ============================================

document.write("메시지박스 출력 후 문서 영역에 출력");
window.alert("외부에 자바스크립트 코드 사용");


< 실행결과 >






Posted by holland1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 HTML에 자바스크립트 삽입하기 </title>
 <style type="text/css">
 body
 {
  color:blue;
 }
 </style>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도큐먼트 객체(개체)의 write 메서드(Method:함수)로 화면에 출력
     document.write("안녕하세요.<br />");
     document.write("반갑습니다.<br />");
     // 윈도우 객체의 alert() 함수 호출로 경고대화상자(메시지박스) 출력
     window.alert("또 만나요. \n낼 봐요.");
 </script>
</head>
<body>

 

</body>
</html>

<!--
자바스크립트 코드는 <head>태그 사이에 들어갈 수도 있고, <body>태그 안에 들어갈 수도 있고 <html>태그 밖에 넣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head>태그 안에 삽입한다.
-->

< 실행결과 >




Posted by holland14
: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title>자바스크립트 시작</title>

</head>
<body>

<h3>안녕하세요.</h3>  <!-- HTML레벨(기본기능) -->

<h3 style="color:red;">반갑습니다.</h3> <!-- CSS레벨(HTML에 "색상", "크기", "모양" 관련 기능추가) -->

<h3 style="color:blue;background-color:yellow;"
 onclick="alert('클릭하셨군요.');"
>또 만나요.</h3> <!-- JavaScript레벨(HTML, CSS기능에 더하여 "동적인 기능"추가) -->

</body>
</html>

<!--
- HTML에 동적인 기능을 주고자 할 때 JavaScript를 사용한다.
- "onclick"은 JavaScript로 '동적기능'을 줄 때 주로 쓰이는 이벤트핸들러이다.
-->


< 실행결과 >




Posted by holland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