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 만들었던 간단한 계산기 프로그램인 "DotNetCalc"프로젝트(DotNetCalc.sln)를 열어서 --> [파일] -> [추가] -> [새 프로젝트] 클릭 --> [새 프로젝트 추가] 창에서 '프로젝트 형식'을 [기타 프로젝트 형식]으로 선택하면 [설치 및 배포] 선택 --> 오른쪽 창의 'Visual Studio에 설치되어 있는 템플릿'에서 [설치 프로젝트] 선택하고 파일'이름'은 "DotNetCalcSetup"으로 하고 저장'위치'는 "C:\...\DotNetCalc"로 지정한 후 '확인'버튼 클릭

-->생성된 [파일 시스템 (DotNetCalcSetup)] 창에서 [사용자 바탕 화면]에 마우스 우클릭 ->[추가] ->[폴더] 클릭하고 '새 폴더'의 이름은 [DotNetCalc]로 지정한다. [사용자 바탕 화면] 아래에 있는 [사용자 프로그램 메뉴]와 [응용 프로그램 폴더]도 같은 방식으로 '새 폴더'를 추가하여 폴더이름도 동일하게 [DotNetCalc]로 한다.

--> [응용 프로그램 폴더]의 [DotNetCalc]를 마우스로 선택한 후 오른쪽에 있는 창을 '우클릭'하여 [추가] -> [파일] 클릭 --> [파일 추가] 창에서 C:\...\DotNetCalc폴더에서 [bin] -> [Debug]폴더 내의 DotNetCalc.exe 파일을 선택하여 "열기"버튼 클릭(이 과정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 폴더" 내에 실행파일인 "exe파일"이 추가된 것이다.  이것은 보통 프로그램을 깔면 C드라이브의 "Program Files"폴더 안에 '해당프로그램 폴더'와 '그 폴더 안에 exe파일'이 들어있는 것과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다.)

--> [사용자 프로그램 메뉴]의 [DotNetCalc]폴더 마우스로 선택한 후 오른쪽에 있는 창을 '우클릭'하여 [새 바로 가기 만들기] 클릭 --> [프로젝트에서 항목 선택] 창에서 '찾는 위치'를 [응용 프로그램 폴더] -> [DotNetCalc] -> [DotNetCalc.exe] 선택하고 '확인'버튼 클릭하면 "DotNetCalc.exe 바로 가기"로 초기이름이 설정될 때 "DotNetCalc"로 이름 변경(이 과정은 '윈도우즈'의 "시작"버튼 - "모든 프로그램"을 클릭하면 나오는 '폴더'로 들어있는 "(프로그램)바로가기"와 폴더없이 아이콘과 (프로그램)바로가기를 만드는 과정이다. 여기서는 폴더를 생성하여 폴더 안에 바로가기를 하였다. '찾는 위치'를 [응용 프로그램 폴더] -> [DotNetCalc] -> [DotNetCalc.exe]로 선택하는 과정은 실제 실행파일인 exe파일이 들어있는 C드라이브 내 [응용 프로그램 폴더]에서 [DotNetCalc] ->[DotNetCalc.exe]로 링크를 (바로가기에) 걸어준 것이라 할 수 있다.)

--> [사용자 바탕 화면]의 [DotNetCalc]폴더 마우스로 선택한 후 오른쪽에 있는 창을 '우클릭'하여 [새 바로 가기 만들기] 클릭 --> 바로 위와 마찬가지로 [프로젝트에서 항목 선택] 창에서 '찾는 위치'를 [응용 프로그램 폴더] -> [DotNetCalc] -> [DotNetCalc.exe] 선택하고 '확인'버튼 클릭하면 "DotNetCalc.exe 바로 가기"로 초기이름이 설정될 때 "DotNetCalc"로 이름 변경                  --> 파일을 추가하기 위해서 [사용자 바탕 화면]의 [DotNetCalc]폴더 마우스로 선택한 후 오른쪽에 있는 창을 '우클릭'하여 [추가] -> [파일] 클릭 --> [파일 추가] 창에서 C:\...\DotNetCalc폴더에서 [bin] -> [Debug]폴더 내의 DotNetCalc.exe 파일을 선택하여 "열기"버튼 클릭하면 "DotNetCalc.exe"파일이 추가된다.(여기에서는 바탕화면에 생성될 "DotNetCalc"폴더 안에 "바로가기"와 "exe"파일을 만드는 과정을 한 것이다.)

--> [응용 프로그램 폴더], [사용자 프로그램 메뉴], [사용자 바탕 화면]에 각각 [DotNetCalc]폴더를 만들고 각각 바로가기 및 exe파일을 추가(만든)한 후 [솔루션 탐색기]의 [DotNetCalcSetup] 마우스 우클릭 -> [빌드] 클릭("빌드"까지 하면 "C:\...\DotNetCalc\DotNetCalcSetup"폴더의 "Debug"폴더 안에 "DotNetCalcSetup.msi"파일과 "setup.exe"파일이 생성된다.) (참고로 "DotNetCalcSetup.msi" 파일과 "setup.exe"파일은 같은 폴더에 있거나 또는 함께 있어야 한다.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msi파일은 setup.exe파일과 다른 위치에 있어도 단독으로 실행되어 설치를 진행하지만, 반대로 setup.exe파일은 msi파일과 따로 존재하는 경우 실행되지 않는다. 그런데 setup.exe파일이 *.msi파일과 같은 폴더에 있거나 함께 있는 경우에는 setup.exe파일을 실행해보면 정상적으로 실행되어 설치가 진행된다. 결론적으로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setup.exe파일은 *.msi파일이 실행되기위한 도우미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 "빌드"를 통해 "C:\...\DotNetCalc\DotNetCalcSetup\Debug"폴더에 생성된 "DotNetCalcSetup.msi"파일 또는 "setup.exe"파일을 실행하면 '설치마법사' 창이 뜨면서 설치가 진행되며, 설치가 다 된 후에는 "바탕화면"에 "DotNetCalc"폴더와 그 안에는 "DotNetCalc.exe"와 "DotNetCalc 바로가기"가 설치되며, 윈도우즈의 [시작] -> [모든 프로그램]에 "DotNetCalc"폴더와 그 안에 "DotNetCalc 바로가기"가 만들어진다. 


/* 실습으로 설치된 "DotNetCalcSetup"파일은 [내 컴퓨터] ->[제어판] ->[프로그램 추가/제거]에 들어가서 찾아서 삭제할 것 */





< 실행결과 >

--> "빌드"한 후에 "C:\...\DotNetCalc\DotNetCalcSetup\Debug"폴더에 "DotNetCalcSetup.msi"파일과 "setup.exe"파일이 생성되었다.





--> 위에서 빌드후 생성된 "DotNetCalcSetup.msi"파일 또는 "setup.exe"파일 둘 중 하나를 실행하여 '설치마법사'창에서 설치를 완료하면, "바탕화면"에 "DotNetCalc"폴더가 만들어지고, 이 폴더안에 "DotNetCalc 바로가기"와 "DotNetCalc.exe"파일이 만들어진다.




--> '윈도우즈'의 "시작"에 "모든 프로그램"을 보면 "DotNetCalc"폴더와 그 폴더 안에 "DotNetCalc 바로가기"가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 "바탕화면"에 설치된 "DotNetCalc"폴더 내의 "DotNetCalc 바로가기" 또는 "DotNetCalc.exe"파일을 실행하거나 / "시작 - 모든 프로그램"에 설치된 "DotNetCalc"폴더 안의 "DotNetCalc 바로가기"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계산기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Posted by holland14
: